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CFA>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level 2 Deriviates 질문드립니다. 등록일 2019-04-14
안녕하세요, 강사님. 또 질문이 있어 여쭙습니다.

1. 우선 다음이 맞는 건가요?

payer swap = off market long FRA의 series = long payer swaption + short receiver swaption = long Interest rate cap + short Interest rate floor

receiver swap = off market short FRA의 series = long receiver swaption + short payer swaption = short Interest rate cap + long Interest floor

만약 맞다고 한다면 payoff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 long payer swaption과 long interest rate cap의 그림이 같고, long receiver swaption과 long interest rate floor의 그림이 같을 것 같은데, payer swaption(또는 Rceiver swaption)과 IR cap(또는 IR floor의 차이는, 후자와 달리 전자가 기초자산을 Interest rate 외에 다른 것으로 할 수도 있다는 점뿐인가요?

2. 슈웨이져 노트 190pg 2번 문제를 보면 블랙숄즈모형의 가정이 아닌 걸 고르라고 합니다. 답이 B라고 하는데, 블랙숄즈모형의 다섯번째 가정에서 보면 기초자산이 지수인 경우 연속배당수익이 발생할 텐데 왜 A가 답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또 블랙숄즈모형은 연속의 세상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Return 역시 연속복리수익률일 것이고, 그렇다면 return은 lognormal 분포를 따른다는(정확히 말하자면 틀렸지만 그냥 책에 따른다면) B선택지는 첫번째 가정에 부합하므로 맞다고 봐야 하지 않나요?

3. Vega가 at-the-money에서 가장 크다는 의미는 기초자산의 작은 변동성에도 옵션의 가치가 쉽게 out of money로 가거나 in the money로 가거나 한다는 의미인가요? 강사님이 option payoff 곡선을 그려 설명해주시는 부분을 계속 반복해 봐도 의미가 잘 이해가 안 돼 여쭙습니다. (사실 곡선 상으로 보면 같은 변동성이라도 in the money일 때 옵션의 가치가 가장 크게 변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