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수험정보홈>기술자격증>전기(전기/전기공사)>수험정보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 도 많다.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 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 또 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 발전,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부 품·장비·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
-
발전,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 저 손실 변압기, 전동력 속도제어기,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 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 초고속 송전,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전기사업법」등 여러 법에서 전기 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 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응시자격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4.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5.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6.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8.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9.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0.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 대학의 전기공학, 전기제어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
시험과목
필기 | 실기 |
---|---|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
시험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 실기: 필답형 (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시험날짜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예정자) 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5.01.13~25.01.16 빈자리추가접수기간 25.02.01~25.02.02 |
25.02.07~25.03.04 | 25.03.12 | 25.03.24~25.03.27 | 25.04.19~25.05.09 | 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5.04.14~25.04.17 | 25.05.10~25.05.30 | 25.06.11 | 25.06.23~25.06.26 | 25.07.19~25.08.06 | 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5.07.21~25.07.24 | 25.08.09~25.09.01 | 25.09.10 | 25.09.22~25.09.25 | 25.11.01~25.11.21 | 25.12.24 |
시험 수수료
- 필기: 19,400원
- 실기: 22,600원
응시현황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57,417 | 15,005 | 26.1% | 27,063 | 10,115 | 37.4% |
2023 | 51,630 | 11,477 | 22.20% | 23,643 | 8,774 | 37.10% |
2022 | 52,187 | 11,611 | 22.20% | 32,640 | 12,901 | 39.50% |
2021 | 60,500 | 13,365 | 22.1% | 33,816 | 9,916 | 29.3% |
2020 | 56,376 | 15,970 | 28.3% | 42,416 | 7,151 | 16.9% |
2019 | 49,815 | 14,512 | 29.1% | 31,476 | 12,760 | 40.5% |
2018 | 44,920 | 12,329 | 27.4% | 30,849 | 4,412 | 14.3% |
2017 | 43,104 | 10,831 | 25.1% | 25,309 | 9,457 | 37.4% |
2016 | 38,632 | 9,085 | 23.5% | 23,089 | 4,676 | 20.3% |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전기를 합리적으로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 도 많다.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 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 또 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 발전,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부 품·장비·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
-발전,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 저 손실 변압기, 전동력 속도제어기,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 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 초고속 송전,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전기사업법」등 여러 법에서 전기 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 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응시자격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3.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4.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5.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6.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8.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 대학의 전기공학, 전기제어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
시험과목
필기 | 실기 |
---|---|
1. 전기자기학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
시험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필답형(2시간)
합격기준
-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시험날짜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예정자) 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5.01.13~25.01.16 빈자리추가접수기간 25.02.01~25.02.02 |
25.02.07~25.03.04 | 25.03.12 | 25.03.24~25.03.27 | 25.04.19~25.05.09 | 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5.04.14~25.04.17 | 25.05.10~25.05.30 | 25.06.11 | 25.06.23~25.06.26 | 25.07.19~25.08.06 | 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5.07.21~25.07.24 | 25.08.09~25.09.01 | 25.09.10 | 25.09.22~25.09.25 | 25.11.01~25.11.21 | 25.12.24 |
시험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 20,800원
응시현황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31,584 | 6,189 | 19.6% | 10,961 | 3,105 | 28.3% |
2023 | 29,955 | 5,577 | 18.60% | 11,193 | 5,668 | 50.60% |
2022 | 31,121 | 6,692 | 21.50% | 16,223 | 3,917 | 24.10% |
2021 | 37,892 | 6,991 | 18.4% | 18,416 | 5,020 | 27.3% |
2020 | 34,534 | 8,706 | 25.2% | 18,082 | 4,955 | 27.4% |
2019 | 37,091 | 6,629 | 17.9% | 13,179 | 4,486 | 34% |
2018 | 30,920 | 6,583 | 21.3% | 12,331 | 4,820 | 39.1% |
2017 | 29,428 | 5,779 | 19.6% | 12,159 | 4,334 | 35.6% |
2016 | 27,724 | 5,790 | 20.9% | 11,031 | 2,933 | 26.6% |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일
진로 및 전망
-발전소, 변전소, 전기공작물시설업체, 건설업체,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 및 담당할 수 있다.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단계이다.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보수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개발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이론 2. 전기기기 3. 전기설비
- 실기: 전기설비작업
시험방법
- 필기: 객관식 4지택일형(60문항)
- 실기: 작업형(5시간 정도, 전기설비작업)
합격기준
- 필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실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시험날짜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예정자) 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5.01.06~25.01.09 빈자리추가접수기간 25.01.15~25.01.16 |
25.01.21~25.01.25 | 25.02.06 | 25.02.10~24.02.13 빈자리추가접수기간 25.03.09~25.03.10 |
25.03.15~25.04.02 | 25.04.11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5.03.17~25.03.21 | 25.04.05~25.04.10 | 25.04.16 | 25.04.21~25.04.24 | 25.05.31~25.06.15 | 25.06.27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5.06.09~25.06.12 | 25.06.28~25.07.03 | 25.07.16 | 25.07.28~25.07.31 | 25.08.30~25.09.17 | 25.09.26 |
2025년 정기 기사 4회 | 25.08.25~25.08.28 | 25.09.20~25.09.25 | 25.10.15 | 25.10.20~25.10.23 | 25.11.22~25.12.10 | 25.12.19 |
응시현황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61,127 | 22,133 | 36.2% | 32,762 | 23,769 | 72.6% |
2023 | 60,239 | 21,017 | 34.90% | 30,545 | 22,655 | 74.20% |
2022 | 48,440 | 16,212 | 33.50% | 27,498 | 20,053 | 72.90% |
2021 | 57,148 | 19,587 | 34.3% | 32,755 | 23,473 | 71.7% |
2020 | 49,176 | 18,313 | 37.2% | 31,921 | 21,432 | 67.1% |
2019 | 53,873 | 16,802 | 31.2% | 29,957 | 19,832 | 66.2% |
2018 | 48,832 | 15,176 | 31.1% | 28,488 | 18,138 | 63.7% |
2017 | 44,757 | 13,180 | 29.4% | 25,694 | 17,725 | 69% |
2016 | 43,469 | 12,036 | 27.7% | 24,013 | 16,644 | 69.3% |
2015 | 38,280 | 10,265 | 26.8% | 19,507 | 15,262 | 78.2% |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개요
전기는 생산, 수송,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비를 전기특성에 적합하게 시공되어야 안전하다. 이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 할 목적으로 자격제도 재정.
수행직무
공사비의 적산, 공사공정계획의 수립, 시공과정에서 전기의 적정여부 관리 등 주로 기술 적인 직무를 수행. 또한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시공자를 대리하여 현장관리를 하는 동시에 발주자에 대해서는 시공자를 대신하여 업무수행.
진로 및 전망
-발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공사업체, 발전소, 변전소, 설계회사, 감리회사, 조명공사 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가 쓰이는 모든 전기공사시공업체에 취업이 가능하고 일부는 전기공사업체를 자영하거나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전기가 전 산업에서의 기본 에너지임을 감안할 때 전기시설물의 시공과 점검 및 유지 ·보수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전문가의 수요는 계속될 것이다. 특히 「전기공사업법」 에서도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술자의 시공관리 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기술자 이외의 자가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진출범위가 넓고 취업이 유리하여 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하고 있다. 「전기공사업법」에서는 전기공사업등록기준으로 전기관련 산업기사 이상의 국가기술자격자 1인을 포함한 전기공사기술자3인이상을 고용하도록 되어있다.
응시자격
대학의 전기공학, 전기시스템공학, 전기제어공학 등 전기관련학과
시험과목
- 필기: 1.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기술기준
- 실기: 전기설비 견적 및 시공
시험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필답형(2시간 30분)
합격기준
-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60점이상
- 실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시험날짜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예정자) 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5.01.13~25.01.16 빈자리추가접수기간 25.02.01~25.02.02 |
25.02.07~25.03.04 | 25.03.12 | 25.03.24~25.03.27 | 25.04.19~25.05.09 | 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5.04.14~25.04.17 | 25.05.10~25.05.30 | 25.06.11 | 25.06.23~25.06.26 | 25.07.19~25.08.06 | 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5.07.21~25.07.24 | 25.08.09~25.09.01 | 25.09.10 | 25.09.22~25.09.25 | 25.11.01~25.11.21 | 25.12.24 |
응시현황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11,578 | 5,938 | 51.3% | 6,943 | 3,461 | 49.8% |
2023 | 14,972 | 6,736 | 45% | 8,547 | 5,315 | 62.20% |
2022 | 13,583 | 6,475 | 47.70% | 9,161 | 6,037 | 65.90% |
2021 | 17,055 | 8,906 | 52.2% | 10,658 | 4,508 | 42.3% |
2020 | 8,869 | 4,904 | 55.3% | 6,666 | 3,904 | 58.6% |
2019 | 12,263 | 5,227 | 42.6% | 6,338 | 1,852 | 29.2% |
2018 | 9,430 | 3,462 | 36.7% | 4,655 | 2,162 | 46.4% |
2017 | 10,743 | 4,503 | 41.9% | 5,287 | 1,974 | 37.3% |
2016 | 9,407 | 3,383 | 36% | 4,357 | 1,920 | 44.1% |
2015 | 8,969 | 2,781 | 31% | 4,680 | 1,505 | 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