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CFA>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강사님 답변입니다. 등록일 2019-03-18

1) 제가 혹시 APT로 모델링한 것이라고 말씀드렸으면 실수한것입니다.<?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이건 fundamental factor modeling한 것이구요. Factor sensitivity의 경우 page 154의 식을 참고하시면 될것 같은데..

P/E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장주가 high P/E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benchmark 대비 높은 P/E sensitivity를 갖는 포트폴리오 맞습니다.

Size Factor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fundamental model의 경우 factor sensitivity는 시장에 대한 민감도가 아닙니다.

질문주신 분은 Fama-French 3-factor model을 염두하고 말씀하신것 같습니다. 

 

2) Size Factor sensitivity가 일단 +라는 것은 일단 평균보다는 높다는 것이고 Benchmark 대비 숫자가 낮기 때문에 Benchmark 보다는 포트폴리오의 대형주 비중이 낮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로를 Size factor sensitivity로 놓고 세로를 return으로 놓고 기울기를 구했을 때 기울기가 2% 나왔다는 것이기 때문에 대형주일수록 수익이 많이 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대형주가 중소형주에 비해 일반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것은 일반적인 경우고 늘 그렇지는 않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data가 나타내는 것은 데이터를 모은 시기에는 대형주가 out-perform 하고 가치주가 put-perform 한 시기입니다.

fundamental model은 cross-sectional 한 분석입니다.

데이터를 모은 시기에 따라 리스크 프리미엄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현상을 염두하면 문제에서 제시한 숫자가 잘 안보입니다. 이상입니다.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