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CFA>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CFA Lv2 Equity와 CF(유태인 강사님과 김용석 강사님) 질문있습니다. 등록일 2019-01-05
질문드리기에 앞서 이전에 질문했었던 내용(학습질의응답 게시판의 '17753'글)에 대해서 아직 답변이 오지 않았습니다.
CFA Lv2 Equity 강사분 성함을 게재하지 않았는데, 강사분 성함은 유태인 강사님입니다.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이번 글에서의 질문은 총 3개 입니다.

먼저 FCFF를 구하는 공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유태인 강사님과 김용석 강사님 두분께 모두 질문하고 싶습니다.)
Equity에서는 FCFF = NI + NCC + Int(1-t) - (WCInv + FCInv)
= EBIT(1-t) + dep - (WCInv + FCInv)
= EBITDA(1-t) + dep*t - (WCInv + FCInv)
= CFO - Int(1-t) - FCInv 의 공식들로 FCFF를 정의하였습니다.

Corporate Finance(이하 CF)에서는 FCFF = CFO - (FCInv + NWCInv)로 FCFF를 정의하였습니다.

문제는 Equity에서의 4번째 공식과 CF에서의 공식이 다르다는 것인데요.
Equity에서는 CFO를 'NI + NCC - WCInv'로 정의하였고, CF에서는 CFO를 'NI + NCC - Int(1-t)'정의 하였습니다.

구글을 검색해본 결과 Equity에서의 CFO에 대한 정의가 통용되고 있는 듯 한데요.
(https://investinganswers.com/financial-dictionary/financial-statement-analysis/free-cash-flow-firm-fcff-1149)

그렇다면 CF에서의 FCFF와 CFO에 대한 정의는 틀린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다음 질문과 마지막 질문은 Equity과목을 담당하고 계신 유태인 강사님께만 하는 질문입니다.
커리큘럼북의 Discounted Dividend Valuation(DDM)에 해당하는 LOS의 Practice Problem에서 질문이 있는데요.

44번 문제) 문제를 풀지 못했습니다.

강의와 교재에서 Sustainable Growth Rate(이하 SGR) = Retention Rate(이하 b) * ROE로 배웠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Sustainable dividend payout ratio를 구하기 위해서는
SGR을 구하여 공식을 역산하는 방식으로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본문에서 제시된 정보는 'Required Rate of Return'과 'Growth rate, first four years',
그리고 'Growth rate, beyond first four years'에 대한 수치값이 주어졌습니다.
'어떻게 SGR을 잡을 것이며, ROE는 어떻게 잡을 것인지 고민하다가 결국 풀지 못하였습니다.

하여 해설지를 보니 SGR을 'Growth rate, beyond first four years'로 잡았고,
ROE를 'Required Rate of Return'로 잡아서 Sustainable dividend payout ratio를 구해놓았더군요.

이 부분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SGR을 저렇게 'Growth rate, beyond first four years'로 잡아도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이 들고,
특히 ROE를 'Required Rate of Return' 잡은 것은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49번 문제) 문제를 맞추지 못했습니다.

GGM Model을 사용하여 value utility stocks를 하기에 적합한 경우를 찾는 문제였는데요.
저는 Report 3가 정답이라고 생각했습니다.
earning growth를 결정짓는 key driver가 GDP growth이고,
이 값이 stable하다는 표현에서 GGM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헌데 정답은 Report 2였습니다.
Share Repurchase가 늘어날 것이라 기대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해설지에 따르면, Share Repurchase의 영향을 dividend growth rate에 적절히 반영하여 조정할 수 있다면,
GGM을 사용하기 적합하다고 합니다.

이 부분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Report 3는 왜 답이 될 수 없고, Report 2가 왜 답이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해설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부분도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