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CFA>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level 2 equity 질문드립니다. 등록일 2019-03-21
안녕하세요, 강사님. 문제를 풀다가 질문이 있어 여쭙습니다.

1. 커리큘럼 북 43page 9번 문제의 답에서는 active manager가 positive alpha(abnormal return)을 얻기 위해 intrinsic value와 market price의 차이를 찾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슈웨이져 노트에서는 "Analysts seeking to produce positive risk-adjusted returns do so by trying to indentify securities for which their estimate of intrinsic value differs from current market price."라고 나와 있습니다.

제가 level 1 때 시장의 효율가설 파트에서 강사님께 배우기로는 abonormal return = risk adjusted return = abonormal return 으로서, 시장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active mangaer가 취할 수 있는 초과이익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alpha를 risk adjusted return이라고 보고 슈웨이져 노트에서 말한대로 답을 A로 골랐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이 문제의 경우 시장의 비효율성만을 따진 걸까요? 기본적인 개념 같은데 이해가 부족해 강사님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2. 커리큘럼 북 188pg의 10번 문제는 예상되는 GPM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해설이 푸는 방식은 이해했습니다만, (1.05)(0.97)-(1.08)(0.97) / (1.05)(0.97) = -2.6% 로서 작년도에 비해 GPM이 2.86% 감소한다고 보고, 작년의 GPM이 70%였으니, 70*(1-0.0286)=67.99 이렇게 구하면 왜 답이 나르게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단순한 산식 문제 질문이라 여쭙기 죄송했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답은 같게 나와야 할 것 같은데 그러지 않아 이렇게 여쭙네요.

3. ROIC와 ROCE가 부채구조가 다른 회사 간 수익창출 비교에 있어 ROE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한다는 말은, 역으로 말하면 financial leverage를 반영해주지 못한다는 말과 같다고 보면 될까요?

4. 커리큘럼 북 190pg의 18번 문제는 CAPEX의 증가분에 대한 추정치를 묻고 있습니다. scenario 1의 경우, 새로운 공장을 사는 데 30이 들므로 CAPEX는 30이 증가하는 셈이고, FCInv = CAPEX - Proceeds form sales of long term asset이므로 30-5 = 25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해설에는 scenario 1의 CAPEX를 마치 FCInv처럼 보고 25라고 하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걸까요?

5. 일전에 constant dividend growth에 대해 여쭤봤을 때 capital gain과는 무관하다고 하셨는데, 커리큘럼 북 256pg 21번 문제를 보면 현재 주가가 fairly valued된 거라고 가정했을 때 그 주식의 capital gain yeild가 얼마냐고 묻고 있습니다. 해설을 보면 "if the stock is fairly priced in the market as per the GGM,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increase at g, the expected growth rate in dividends. The implied growth rate in dividends, if price is the fair value, is 3. 87%. Therefore, the expected capital gains yield is 3.87%."라고 나와 있는데, 마치 배당의 내재성장률 g만큼 capital gain도 똑같이 증가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capital gain이 어떻게 g와 같다고 해석할 수 있는지, 사실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여쭈었었습니다.

259pg 31번 해설에도 이와 비슷하게 "주식이 fairly valued 되었을 때"는 capital gains yield = constant growth rate이라고 나옵니다.


6. 커리큘럼 북 262pg 42번 문제를 보면 dupont model을 이용해 sustainable growth rate을 구하라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이때 제시된 표에는 shareholders' equity가 beg 기준으로 나와 있습니다. 반면에 asset은 그 해의 평균 asset이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end 기준 shareholders' equity를 구하기 위해 shareholders' equity(beg) + NI - Dividends paid를 써 구했더니, 해설에는 그냥 beg 기준으로 풀었더군요. 이 경우 해설이 말하는 게 맞는 걸까요?


제가 생각해도 질문이 너무나 많은 것 같네요. 업무에도 바쁘실 텐데 정말 하나하나 여쭈어서 죄송한 마음을 금치 못하겠네요. 그저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길 바랄 뿐입니다..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