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시험/합격후기>국제자격증>CFA>시험/합격후기

제목 Level 2 후기입니다. 등록일 2008-06-09
#Prologue 드디어 Level 2 시험이 끝났군요. 홀가분합니다. 어제 시험 끝나고 맥주 두 잔 마시고 밤 차로 지방으로 내려가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는데 집에서 푹 자고 나니 머리가 멍하네요. 긴장이 풀어져서 그런가? 그간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고, 시험장에서 온 힘을 쏟아 붙겠다는 정신으로 임했는데 오후 세션에서 ‘역시나 CFA Level 2 다. :( ’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12월 1차 보고 나서 그간 준비기간이 그리 길지 않았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다른 분들도 시험결과에 상관없이 후회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시험이 끝나고 슈웨져를 다시 본다는 것이 조금 우습기도 하지만 그간 모의고사 보고 나면 내용을 정리하던 것이 습관인지라 아침에 일어나서 처음 하는 게 슈웨져 넘겨보면서 시험을 생각해 보는 거네요. 노트에 적어보다 혼자 보기 아까워서 글을 올려봅니다. 머릿속에서 맴도는 문제들을 밖으로 빼 내서 정리해야 머리가 맑아지는 것 같아서요. (내년에 다시 2차를 봐야 할 상황이 없길 바라지만 모르는 상황이라. -_-; ) ItemSet 은 과목별로 다음과 같이 나온 것 같습니다. (정확하진 않습니다. 그냥 느낌에 의존한 것이라서.) Subjects ItemSet Ethics 2 Quantitative Methods 1 Economics 2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4 Corporate Finance 2 Portfolio Management 1 Equity Analysis 4 Fixed Income Investments 2 Derivative Investments 2 sum 20 <Ethics : 2 set> No Comment!! : 음, 노코멘트입니다. ^_^; Level 1 과 Level 2 의 내용을 잘 섞어서 나왔습니다. Ethics 는 항상 풀고 나서도 확신이 안 서네요. (해설을 보면 알텐데 해설이 없어서.) 시험장에서 윤리는 반만 맞추자는 생각으로 제일 마지막에 풀었는데 답안 마킹 때 계속 특정 번호로 연달아 답이 나와서 걱정했습니다만 정확한 근거가 없어서 그냥 마킹 했습니다. 누가 보면 다 찍은 것으로 보였을 거에요. :) <Quantitative Methods : 1 set> Cofficient Determination, One tailed or Two tailed t-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Economics의 PPP … : Time-series 부분이 사실 실무에서도 그렇고 상당히 깊이 있는 내용인데 안 나왔네요. 사실 머리가 많이 Random Walk 했었는데 다행입니다. <Economics : 2 set > Current account 계산 Financial account 계산 Growth에 따른 currency dep. app. Effect , Current account, Financial account Cash & carry , Reverse Cash & carry Forward premium or discount 계산 … : Current, Financial 계산이 나와서 솔직히 상당히 당황했습니다. Net aid 와 investment div. 처리가 핵심인데 저는 틀린 것 같네요.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 4 set > Analysis of Intercorporate Investments -Trading과 AFS 의 Unrealized Gain/Loss -AFS와 HTM의 Unrealized Gain/Loss 관련해서 method 변경을 통해 aggressive 하게 하는 방법 -Equity Method 의 Equity Investment 계산 Mergers, Acquisitions, and Other Intercorporate Investments -IFRS (Proportion Consolidation) vs US GAAP (Equity Method)의 Ratio 비교 Pension -Pension expense 계산 -Adjust Pension expense (Economic Pension Expense) 계산 -Discount rate assumption 변경에 따른 effect -Expected return on plan assets 변경에 따른 effect Analysis of multinational operations -All-Current method, Temporal method 의 Translation gain & loss 계산 -Temporal method로 환산하여 Inventory, Gross Profit margin ratio 계산 -Appreciating Local Currency에 따른 Temporal , All-Current method ratio 비교 ETC -Accounting Shenanigans , Bill & Holds -Aggressive 한 회계처리 분석 (Pension, rate of compensation increase 올리기) -Earning quality, LIFO liquidation -Comprehensive Income … : 역시 기본 개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사실 권오상, 김용석 회계사님께서 가르쳐 주신 것 열심히 반복 연습해야 하고 계산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반복 숙달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슈웨져에서 Temporal Method 로 inventory, COGS 계산하는 것이 소개되지만 ‘professor note’ 에는 이런 것까지 나오겠냐고 써있었지만 나왔네요. 예시에 나온 distracters 가 어떠한 환율을 가지고 계산을 해도 다 나오는 답들이라 정확하게 계산해야 하는데 정확하게 했는지 기억이 가물 가물합니다. <Corporate Finance : 2 set> Capital Budgeting -After-tax operating cash flow(CF) 계산 -Terminal year after-tax non-operating cash flow(TNOCF) 계산 -Ignore sunk costs -FCINV 증가에 따른 NPV 의 변화 계산 EVA계산 Mergers and acquisitions -HHI(Herfindahl-Hirschman Index), Post-merger HHI가 1000~1800인 경우 100 이상은 Possible antitrust challenge -Comparable Company Analysis를 이용한 적정 takeover price 계산 -Comparable Transaction Analysis를 이용한 Takeover premium % 및 takeover price 계산 : 사실 Corporate Finance 가 시험과목 중에서 비교적 정직한 과목이었던 것 같습니다. 슈웨져와 커리큘럼북 문제, 그리고 테스트뱅크 문제와 유사한 것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다만 HHI에서 pre냐 post냐 이런 것까지 물어보니 정말 구석구석 봤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Portfolio Management : 1 set > Min-Variance Analysis MRP 계산 Domestic CAPM, extended CAPM, International CAPM assumption 비교 … : 충격이 좀 큰 과목입니다. 나름대로 포트폴리오에 개념을 잡았다고 착각(?) 한 과목이고, 각종 model assumption에 대한 것도 충분히 읽고 숙지했다고 하는데 갑자기 Item set 형태가 Min-Variance Analysis 로 색다르게 물어보니 당황스러웠네요. ㅡ_ㅡ; <Asset Valuation and Equity : 4 set > Porter's Five Forces Residual Income 계산 (EBIT로 NI를 계산) single-stage residual income model 을 이용한 V0 계산 Continuing residual income의 가정의 적절성 Sustainable Growth Rate FCF를 이용한 Intrinsic Price 계산 PVGO 계산 Intrinsic P/E 관련 계산 justified P/B 계산 EVA 계산 Nominal Sale 계산 Nominal->Real , Real->Nominal 로 계산의 적절성 Income Property analysis and appraisal -Capitalization Rate에서 g가 &#8211; 인것은 향후 전망이 좋지 않음. -Market extraction(ME)가 Sale price, gross income 를 이용하는가? -Discount Rate, Capitalization Rate 계산 -Capitalization Rate 을 이용한 MV 계산 -Band-of-investment method (Debt와 Equity financing을 이용한 경우 적절한 방법) -Gross income multiplier 을 이용한 MV계산 … : Valuation in Emerging Markets 에서 Nominal 과 Real 관련해서 여러 개가 나왔는데, 공부하는 입장과 실제 시험에서의 Focus가 약간은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Tax와 NWC는 Nominal에서 Real로 계산하고, Capital expenditures 는 real로 계산하는 것을 알면서도 문제에서는 지문 해석이 애매하더군요. 부동산관련에서는 슈웨져 book 6 exam 3, Morning session 에서 부동산 item set 6문제 전체를 틀린 기억이 있어서 신경 좀 썼습니다만 역시나 Alternative Investment가 나왔네요. ERAT 계산이나, CFAT를 계산해서 NPV를 계산하는 것은 안 나왔습니다만, Debt과 Equity financing를 mixed 한 경우 적절한 방법인 BOI를 묻는 것은 시험 볼 때 갑자기 당황스럽게 하기 충분했습니다. <Fixed Income : 2 set> Funds from operations / total debt ratio 계산 Pretax return on capital (EBIT / Average Capital) ratio 계산 PAC은 extension, contraction risk 로 부터 모두 protected PAC에서 initial PAC collar 을 벗어나는 경우 Average life의 변화 -Upper rate of the initial PAC collar 을 돌파하면 Average life 는 줄어든다. PO, IO -PO의 가치가 극대화 되는 상황 -IO와 interest 의 관계 (interest가 증가할 수록 IO가 커지다가 어느 순간부터 IO가 감소) Accrual Tranche (Z-tranche)의 Effect 계산 CMO, MBS 특성 … : Pretax return on capital 같은 것은 커리큘럼 북에 나오는 것 같던데 자세히 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운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테스트뱅크에는 Pretax interest coverage 를 물어봤었던 문제가 있었던 거 같은데 “pretax interest coverage = (NI + interest expense + income tax expense ) / interest expense” 와 “Pretax return on capital = EBIT / Avg. of beg. Of year and end of year capital, including short-term debt, current maturities, long-term debt(including amount for operating lease debt equivalent), non-current deferred taxed, and equity” 같은 것까지 자세히 알아야 하니 상당히 지엽적인 것까지 물어보는 것 같았습니다. (Curriculum volume5, p48) Funds from operations / total debt ratio 같은 것은 funds from operations 이 NI + Dep. + Amort. 인 것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distracters 중 하나를 고르기 충분했습니다. IO와 PO에 대해서 각각 특성을 물어보는 것은 예상했습니다만, IO가 Mortgage Rate와 Positive 한 관계가 있다 하더라도 어느 수준 늘어나면 Negative 하다는 것을 물어보는 것 보니 표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필요<

나도한마디(100자이내)(0/100)

등록

  • 추천하기
다음글
Level 2 후기
이전글
Lv2 질문(?)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