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학습질의응답>기술자격증>공조냉동기계>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공기조화 질문! 등록일 2019-02-07
안녕하세요 강사님. 명절 잘보내셨습니까!


번거롭겠지만 페이지별로 질문을 좀 드리겠습니다.




[질문1]

교제 250p

- 수증기의 엔탈피에 관한개념 -

" 수증기의 엔탈피는 0도 포화액의 증발잠열과 증발된 수증기가 온도 T까지 상승하는 데 필요한 열량의 합이다. "

라고 정리되어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우선은 제가 기존에 갖고있는 개념은 건공기라하면 강의 설명에따라 대기중의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등...

물(h2o)상태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적인 기체를 통틀어 건공기로 알고있고

수증기라는것은 대기압 1atm 하에서 100도에 도달하였을때 증발과정을 거쳐서 수분이 대기에 침투하게되고

여기서 수분 그 자체를 수증기라고 알고있습니다.

문제는 증발점열이라는 개념인데요~

잠열이라하면 상태변화 과정에서 쓰이는 열량을 말하는거잖습니까~

이때 포화액상태에서 증기상태로 간다하면 일반적으로 100도를 상상하게됩니다.

따라서 교제를 읽었을때 수증기의 엔탈피는 0도 포화액의 증발잠열이아니라 100도 포화액의 증발잠열이 아닌가? 하는 기초적인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분명 뭔가 제가 기초적인 부분을 놓치고있다 생각합니다. 잘못된점을 바로잡아주세요~


[질문2]

교제 259p ~ 260P(그래프까지)

바이패스 팩터(BF)와 콘텍트 팩터(CF)선도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우선 교제 260P에서 그래프를 살펴보면

저희가 냉각코일에 공기를 통과시켰을때 공기가 냉각 코일에 접촉을하면 노점상태가 된다는것을 배운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바이팩스 팩터는 코일과의 비접촉율을, 콘텍트 팩터는 코일과의 접촉율을 설명한다면 접촉면적을 고려하였을때

상식적으로 비접촉되는양이 접촉되는양보다 많으니 상대적으로 BF값이 CF값보다 커야된다 생각되거든요?

근데 그래프를 살펴보니 BF값이 CF보다 작더라구요~ 제가 그래프해석에있어 어떤부분을 놓치고있는지 궁금합니다.

처음 그래프를 접했을때 1->2 지점으로 갈때 노점까지 못가닌까 이부분이 BF고 2지점보다 더떨어져 노점부근까지 도달한공기가

CF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렇게되면 그래프표가 S~2 : BF /// 1~2 : CF 로 바뀌는게 맞을텐데;; 교제는 완전히 제생각과는 달리 반대로더라구요~

이렇게 생각을해보고 저렇게 생각을해봐도 제머리속에서는 반대로그려지는데 개념좀 잡아주세요~
첨부파일1 개념공부.jpg(74.9KB)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