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FRM>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book2 테스트뱅크 질문있습니다!! 등록일 2014-11-04
안녕하세요. Credit을 다시 돌아봤는데 질문이 많아서요.. 죄송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1. KMV, 머튼 모형 등이 real probability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real default probability를 구하려면 historical data에서 유추해 내고 risk neutral pd는 mkt info.에서 유추해낸다고 알고 있는데 머튼모델은 주식시장의 가격을 보고 PD를 구해내지 않나요??? 모튼모델이나 KMV가 왜 real default probabilty 인건가요???



2. 머튼모델을 배울 때 와이축을 Asset, Debt, Equity라 쓰고 long rf bond + short put , long call 이렇게 배웠는데
저 와이축이 value of debt, value of equity가 아닌건가요???

테스트뱅크(5월 달 테스트뱅크로 풀고 있습니다.) 18번에 보면 value of junior bond 를 묻고 있는데 long call + short call의 구조인 junior bond의 가치?를 그래프로 그리면은 Firm value가 400일 때 junior bond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300에서 수평선이 아닌가요??? 이 수평선 300이 의미하는게 어떤 뜻이지요?? 300이 bond의 value라 알고 있었는데 아닌 것 같고 잘 모르겠습니다. 헷갈립니다..ㅠ



3. 208번 질문있습니다.(5월 테스트 뱅크라 문제번호가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머튼 모델을 사용했을 때 default probability를 증가시키는 요소들을 고르라는 것입니다..


a. firm value volatility의 경우에 vol이 증가하면 DEBT의 가치가 감소해서 부도날 확률이 낮아지는 건가요??
정확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ㅠ

b. 마찬가지로 return이 증가하면 D의 가치가 낮아지는데 이건 왜 default probabliity 를 낮추는건가요??

c. Maturity도 마찬가지로 증가하면 D의 가치가 낮아지는데 이것도 왜 Pd를 낮추는건가요 ???



4.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머튼모델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테스트 뱅크 65번입니다.

현재 firm value = 100
5년 만기 debt face value = 100
r=10%
vol.=20% 라고 되어있습니다.


long rf bond+ short put 그래프를 그려보면 Debt은 y축이 100이고
long call on strike price =100 인 equity 그래프를 그리면 equity의 와이축은 0 아닌가요????????????????


저 debt 그래프의 와이축 100과 equity 그래프의 와이축 0 이 뭘 말하는건가요????


BSM 으로 call의 가격을 구한게 equity의 가격이란 건 알겠는데 그래프들의 와이축들은 뭘 의미하는 건가요??


조금 정신이 없는것 같은데 잘 부탁드립니다 ... 너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