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FRM>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part1 테스트뱅크 질문드립니다. 등록일 2014-10-28
part1 테스트뱅크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제 1장 (김종곤 강사님)
p.21 16번
→D.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정규분포와 fat-tail한 분포는 평균과 분산이 같아 이 두개만 가지고는 파악할 수 없고 kurtosis를 사용해야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럼 여기서 leptokurtic은 fat-tail한 분포이지만 정규분포와 평균과 분산이 같으므로 분산에는 영향을 못 미친다고 생각해서 sharpe ratio가 적절하다고 생각했는데, 강사님께서 문제풀이 해주실때 leptokurtic 분포는 분산을 낮추어 sharpe ratio를 과소평가하게 되어 부적절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 이해가 안갑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또한 분산이 작아지는 게 맞다고 하더라고 분산이 작아지면 sharpe ratio가 커지므로 과대평가하는거 아닌가요?


p,43 105번
→먼저 이 문제가 CAPM가정을 적절히 설명하는 것을 고르라는 건가요 CAPM의 한계를 고르라는 건가요?
둘 중 하나라고 한다해도, 보기2와 3은 같이 답이 될 수 없는 거 아닌가요? 보기2번은 CAPM의 가정이고 보기3은 CAPM은 거래비용이 없다고 가정했지만 실제로는 거래비용이 존재하니까 CAPM의 한계가 되는 거 아닌가요? 답은 보기2와 3인 B라고 나와있습니다.ㅠㅠ




제 2장 (심희정 강사님)
p.81 1번과 67번 혼합
→ Ⅰ에서 sampling error의 rate는 일반적으로 샘플사이즈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입니다.
강사님께서 샘플링error가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높다)는 맞지만 작아진다.는 틀렸다고 하셨는데요,
67번 지문에서 세번째줄을 보면 increasing his sample size will decrease the sampling error for this statistic=consistent속성에 관해 말합니다. consistent속성에 따르면 1번의 보기Ⅰ는 맞는말 아닌가요?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




제 4장 (김종곤 강사님)
p.209 38번
→Treasury Bill의 이론 선물가격=100-annualized discount rate라고 설명했는데요, discount rate는 연간표시이므로 treasury bill 기간인 90일에 맞게 discount rate도 조정해 주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90일에 적용하는데 연간할인율을 그대로 써도 되는건가요?헷갈립니다ㅠㅠ(T-bill discount rate=360/n(100-cash price)이므로 만기가 90일이고 cash price가 98이라면 90일 동안의 discount rate은 2%이고 이를 연간표시하면 4*2=8%이므로 discount rate은 연간으로 표시하여 8%라고 나타낸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므로 문제에서 연간으로 주어졌을 때 제가 계산할 부분은 90일 이므로 그에 맞게 조정해주어야 하는 거 아닌가합니다...ㅠㅠ)




제 5장 (김종곤 강사님)
p.363 161번
→ABC은행이 XYZ에게 $5,000,000 commitment를 제공하므로 일단 ABC은행이 exposure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여 A 또는 B가 답이 될 수 있는 거...라고 해석하는 거 맞나요? 그리고 답이 B번인건 이해가 되는데 exposure와 LGD가 상관이 있나요? exposure는 Outstanding+(draw down rate)*unused Commitment아닌가요? EL이나 UL을 구할 때 exposure와 LGD가 공식에 들어가긴하지만 둘의 값을 구할 때 둘의 관계는 딱히 없는 거 아닌가요?ㅠㅠ


p.368-369 177번과 181번 통합
→두 자산을 합친 포트폴리오의 VaR를 구할 때
1)VaR(A+B)=루트(VaR(A)^2+VaR(B)^2+2*correlation*VaR(A)*VaR(B))
2)VaR(A-B)=루트(VaR(A)^2+VaR(B)^2-2*correlation*VaR(A)*VaR(B))
그러므로 177번에서는 자산A에서 value 50만큼의 VaR와 자산B에서 value 50만큼의 VaR를 구하고,
VaR(-A+B)= 2)의 방식인 각각의 VaR제곱을 더하고 2*correlation*VaR(A)*VaR(B)를 빼고 루트씌우면 되는거 아닌가요? 해설에서는 그냥 두자산을 buy한 1)의 방식으로 푼다고 나와있습니다. 뭐가 맞는건지 궁금합니다ㅠㅠ

181번에서도 주식A는 long, 주식B는 short하므로 2)방식으로 풀어 답이 -0.25가 나와야하는 거 아닌가요?
답은 -0.25라고 나왔는데 해설을 보니 1)의 방식으로 풀어 0.25가 답이라고 나와있어서 무엇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은 질문해서 죄송합니다ㅠㅠ하나씩이라도 강사님 답변해주시는 대로 알려주세요!^_^ 수고하세요!!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