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FRM>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Part1 - Book4][유극렬 강사님] 질문입니다 등록일 2016-04-11
1-1 2016년 교재 P.147쪽에 있는 5번문제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제가 잘 이해가 안되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문제 조건에 주어진 Forward Rate (9.56%, 10.77%, 11.32%)와
문제 조건에서 주어진 YTM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해낸 Forward Rate(9.56%, 13.11%, 11.32%)를
비교하는 게 이 문제의 핵심인건가요?

1-2 그리고, 답지를 보면 1-year forward rate one year from today를 구할 때,
문제 조건에 주어진 YTM을 사용하는데요,

수업시간에서 배울때나, 책에 적혀있는 바로는
YTM에서 Forward Rate를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Spot Rate에서 Forward Rate를 도출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문제에서는 이 채권들이 zero coupon bond라는 설명도 없으므로, YTM이 Spot Rate와 같다고 할 수도 없는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수업시간에 강사님께 배운 바로는 Par rate에서 Spot Rate를 도출하고, Spot Rate에서 Forward Rate를 도출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2. 2016년 교재 p.172쪽 질문입니다.

채권가격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Expected Change in yield, Unexpected Change in yield, 그리고 Yield Spread가 있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 책 내용 중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72쪽에 Carry-roll-down component(Expected change in yield)를 설명하는 글에서는
from the original term structure to an expected term structure 이라고 표현을 해서,
예상되는 이자율의 변화라는 의미를 조금이나마 이해를 하겠는데,

2번째 문단에 나오는 Rate changes component(Unexpected change in yield)를 설명하는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설명에서는 위의 문단과 대비해서 from an expected term structure to the original term structure that exists at time t 라고 나와있는데요,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 문장이 Unexpected change in yield와 어떤 연관이 있나요?

(지난번에 질문을 올렸었는데, 강사님의 답변도 이해가 가지 않아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조금만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1 2016년 교재 p.172쪽 질문입니다

강사님이 수업시간에 필기를 해주실 때,
percentage price chage = - D x (이자율 변화) + 1/2 x C x (이자율 변화)^2

이렇게 해주셨는데, 정확한 표현은 D(Macaulay Duration)이 아니라,
MD(Modified Duration)아닌가요?


3-2 이어서, 다음쪽(p.173)에 있는 예제에서
문제에서 주어진 duration을 활용해서 문제를 푸셨는데,

이것 또한 duration으로 푸는게 아니라 Modified duration으로 풀어야 정확한 것 아닌가요?


3-3 또 이어서 질문입니다, p.173쪽에 나와있는 예제 뿐만아니라 p.180쪽 4번문제의 풀이를 보면
Percentage price change를 구할 때,
질문 -> '100'이라는 숫자를 계속 곱하는데 이게 명목원금을 뜻하는건가요?
질문 -> 만약에 100이 명목원금이라면, 채권가격의 변동률을 구할 때는 명목금액을 곱하면 채권가격변동률이 아니라, 채권가격의 변동 금액이 나오게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4. 2016년 교재 168쪽 질문입니다
2번째 문단에서, 이런 설명이 있는데요,
Since a 5 -year zero-coupon bond has only one cash flow five years from today, its Macaulay duration is five. The change in value in response to a 1% change in yield for a 5 - year zero-coupon bond is approximately 5%.

그런데 저 위의 내용은, Macaulay Duration이 5일 때, 채권가격의 변동이 5%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 책의 내용이 듀레이션이 아니라, 수정듀레이션으로 설명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Macaulay 듀레이션의 정의는, 채권 투자 시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가중평균 기간으로, 슈웨이저에서도 Duration is often stated as years.라고 나와있어서 더 혼란스럽네요)

'Modified Duration이 3' 이라는 말의 뜻과
'Macaulay Duration이 3'이라는 말의 뜻이 엄연히 다른거 아닌가요?

슈웨이저에서 쓰는 Duration이라는 용어가, Macaulay를 뜻하는 건지, Modified를 뜻하는 건지
잘 구분이 되있지 않아서 혼동이 옵니다..



전체적으로
듀레이션 부분에서 공식의 표현이나 용어 때문에 헷갈리는 부분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제가 어떤 부분에서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혹은 책이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인지
명쾌하게 정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강사님
수고하세요!!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