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이미지

2차 결제하기(클릭)
위의 2차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2차 결제 미진행시 배송료가
추가 결제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학습질의응답>국제자격증>FRM>게시판>학습질의응답

제목 김종곤 강사님께 질문드립니다. Credit Risk 부분입니다. 등록일 2015-02-07
CSA에서 개념을 잡아주실 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ㅣ ㅣ
ㅣ ㅣ
ㅣ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ㅣ ㅣ
ㅣMinimum Transfer Amountㅣ
ㅣ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ㅣ
ㅣ ㅣ
ㅣThreshold Value ㅣ
ㅣ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ㅢ

이런식으로 그려주셨고, Threshold Value를 넘어서도 Exposure가 MTA를 넘어서기 전까지는 Collateral Call을 못하다가 MTA를 넘어서면 그때 Collateral Call이 가능하고 Call을 해도 delivery까지의 remargin period가 발생한다고 알려주셨습니다. (p.167)
그런데 Independent amount는 어떤 개념인지가 잘 잡히지 않습니다.
1.initial margin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이건 counterparty가 애초에 담보를 내고 거래를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2.Gap Risk는 구체적으로 어떤 risk인가요?


CVA의 개념은 잘 잡힌 것 같습니다.

뒷부분에 Converting CVA into a running spread 부분이 있는데요.(p.212)

1. risky duration의 개념을 잘 모르겠습니다. 직관적으로라도 알 수 있도록 설명해주셨으면 합니다. risk가 market risk, creadit risk, operational risk를 총괄한 것이고, 그 risk에 대해 얼마나 반응하는지에 대한 것 같기는 한데.. 이 민감도가 어떻게 측정가능한가요?
2. standalone CVA라는 말이 incremental CVA 부분에서도 나오는데요. standalone CVA는 어떤 개념인가요?
3. 본문 중 예제는 CVA/(Notional Amount *risky duration)을 running spread라고 했는데, 이 말은 위험에 노출된 전체 금액 중 CVA가 차지하는 %d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이 %를 CVA as a running spread(=EPE*EL)로 봐도 무관하나요?

Impact of Probability of Default and Default Correlation 부분에서(p.136)
1. correlation이 같을 때, Probability of Default가 증가하면 Equity, Mezzanine, Senior Tranche들의 mean value가 줄어드는 것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왜 credit VaR는 다르게 움직이는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Credit Var = (Nth percentile loss) - (Expected Loss)로 기억을 하고 있는데, mean value가 모두 줄어들면, 모두 증가해야되지 않나요? 변동성이 각 Tranche별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싶습니다.



한꺼번에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ㅠㅠ원래 혼자 알려고 노력하는 편인데 인강을 들으면서 공부를 하다보니.. 한계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사업자등록번호 105-86-56986 ㅣ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05-02554 ㅣ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52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2동 10층 (주)이패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재남 ㅣ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나현철

COPYRIGHT 2003-2024 EPASSKOREA. ALL RIGHTS RESERVED.